예스24는 2015년부터 '한국 문학의 미래가 될 젊은 작가 투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7년간 147명의 젊은 작가들을 소개했고, 180만 9798명의 독자가 투표에 참여했습니다. 올해도 6월 12일부터 7월 9일까지 투표를 진행합니다. 문학의 힘을 믿는 독자분들의 변함없는 응원을 기대합니다. |
'한국 문학의 미래가 될 젊은 작가 16인'에 든 소감
후보에 제가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처음 한 대답은 "제가요?"였어요. 두번째 대답은 "왜요?"였지요. 후보에 드는 게 어려운 일이라는 걸 알고 있었으니까요. 괜시리 입꼬리가 씰룩거리고 자꾸만 기분이 좋아졌는데 한편으로는 내년 1월 1일이 되면 작가가 된지 딱 10주년이 되는 저로선 반가운 인사를 하자마자 "잘 지내"라는 안녕을 해야하는 기분도 들어 아쉽기도 했어요.
첫 책 『이름을 훔친 소년』의 기억
대학 3학년 때 등단을 하고 나서야 저는 비로소 제 이름을 찾았어요. '이꽃님'이라는 이름은, 마치 가명처럼 느껴지겠지만 사실 실명이에요. 저는 이 예쁘고 뜻 깊은 이름이 늘 어딘가 저와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불편했고, 부끄러웠던 적도 있었어요. 그런데 작가로 등단을 하고 나니, 비로소 알겠더라고요. '이꽃님'이라는 이름은, 나 자신이었다는 걸요. 그렇게 제가 알게 된 깨달음을 담아 4학년 때 '이름을 훔친 소년'이라는 역사 소설을 썼어요. 운좋게도 이야기를 쓰고, 곧장 출간할 수 있었죠. 제 책이 서점에 있으면 날아갈 듯 기쁠 줄 알았는데, 의외로 덤덤하더라고요. 아 내가 한 권을 썼구나. 이제 다음 이야기를 써야겠다. 그게 첫 책을 마주한 저의 생각이었어요.
매일 실천하는 글쓰기 루틴
저는 작가를 꿈꾸면서 저와 약속한 한가지가 있어요. 바로 하루에 두 장 쓰기입니다. 무슨 일이 있어도 하루에 딱 두 장을 채우는 거예요. 가장 선호하는 시간대는 오전 9시부터 12시까지! 오전에 두 장을 모두 채우고 나면 점심부터는 자유 시간이라, 그날 하루는 마음이 편안해져요. 그렇게 채워진 이야기는 두세 달 정도면 한 권의 책으로 나오는데, 문제는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난 뒤부터 도무지 약속을 지킬 수 없다는 거였어요. 아기는 저의 시간을 온전히 원하더라고요. 그래서 아기를 낳고 난 뒤로는 루틴도 없고, 계획도 없이 글을 쓴답니다. 십 분이든 삼십 분이든 아이가 잠시라도 저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 아무리 시끄러운 공간이라도 얼른 써야하거든요. 이것저것 따질 때가 아니더라고요.
글 쓰는 사람에게 꼭 필요한 세 가지
바라보기, 생각하기, 잊지 않기. 저는 글을 쓰는 사람에게는 이 세 가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뭔가를 바라볼 때 이야기가 시작되거든요. 그건 물체일 때도 있고 한 사건일 때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길을 가다가 교통사고가 난 걸 봤다면 우선은 교통사고 현장을 잘 봐야겠지요. 다음은 생각을 할 차례예요. 누가 사고를 낸 걸까, 이 차와 저 차를 탄 사람은 지금 어떤 생각을 할까. 양쪽에 탄 운전자가 되어보고, 무슨 일이 있었을지 상상해요. 이 사고를 최초로 목격했을 목격자는 어땠을까, 경찰은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그들에게 오늘은 어떤 하루였을까. 이런 생각을 하고 나면 이제 잊지 않는 게 가장 중요하죠. 메모를 하든 사진을 찍든 그 감정과 기분, 그 상황을 그대로 옮겨 쓸 수 있도록 말이지요. 보세요. 이것만 해도 벌써 이야기 한 편이 만들어지겠지요?
나를 쓰게 하는 사소한 것들
우선 아무렇게나 낙서를 할 수 있는 종이가 필요해요. 글을 쓰면서 낙서같은 메모를 마구 휘갈겨놓는 습관이 있거든요. 그리고 제가 손이 유달리 작기 때문에 제 손에 딱 맞는 작은 키보드가 필요해요. 그 다음은 시간이 있어야 하지요. 혼자 글을 쓸 수 있는 시간이요. 육아를 하다 보면 시간이 별로 없거든요. 하핫.
가장 좋아하는 작가
가장 좋아하는 작가는 없어요. 좋아하는 작가가 너무 많아서 한 명만 꼽을 수가 없거든요. 그래도 제일 좋아하는 작가가 있을 거 아니냐 묻는다면, 제일 좋아하는 작가는 50명 정도 된다고 대답해야겠어요. 저는 제 마음에 드는 문구, 저를 환하게 만드는 장면, 감탄이 나오는 묘사와 어딘가 살아있을 듯한 캐릭터를 가진 이야기를 읽으면 곧장 그 작가의 팬이 된답니다. 같은 이유로 한 권의 책을 꼽을 수도 없어요. 좋아하는 작가가 50명이니 좋아하는 책은 얼마나 많겠어요!
글쓰기 작업에 영감, 도움을 줬던 책
오래 전 오틸리 바이의 『벽장 속의 아이』라는 책을 읽었어요. 실화를 바탕으로 쓴 프랑스 소설인데 아동 학대를 다룬 책이에요. 다섯 살짜리 아이가 벽장 속에 갇혀 지내는데, 이야기가 아이의 시점으로 쓰여 있어요. 아마도 어른의 시점으로 썼다면 충격이 그렇게까지 크진 않았을 거 같아요. 학대를 당하는 다섯 살 아이의 시점으로 보는 학대는 훨씬 더 끔찍하고 훨씬 더 강하게 기억에 남았습니다. 정말 오랫동안 제 마음에 남아 있었고, 그래서 아동학대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게 됐어요. 시간이 흘러, 오랫동안 저를 괴롭혔던 마음은 『행운이 너에게 다가오는 중』이라는 책으로 나왔습니다.
작가를 꿈꾸는 사람들에게
22살에 처음 글을 썼어요. 그 전에는 글과 아무 상관도 없는 삶을 살았지요. 이런 제가 작가가 되고 싶다고 했을 때 주변 반응은 "네가?"였어요. 이야기를 어떻게 써야 하는지도 어떤 글이 좋은 글인 지도 몰랐으니까요. 그런데도 작가가 되고 싶었던 이유를 저도 잘 모르겠어요. 그냥 꼭 작가가 되고 싶었어요. 가장 힘들었던 것은 '글이 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없었을 때에요. 달리기를 하면 속도가 점점 빨라지는 기록이라도 있을 텐데, 도무지 글은 어떻게 써야 잘 쓰고 있다고 할 수 있을까요. 답답하고 외로웠어요. 때문에 작가가 되고 싶다고 하는 분들에게 저는 분명히 이야기 할 수 있어요. 우선은 글을 쓰세요. 본인이 하루에 무조건 할 수 있는 적은 분량의 목표를 세워 반드시 채우세요. 그 다음, 이야기를 완성하세요. 쉬워 보이지만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를 시작하고 끝맺지 못한답니다. 한가지 명심해야 할 것은, 완성하지 못한 이야기는 시작하지 않은 것보다 나쁘다고 생각해야한다는 거예요. 꼭 완성 지으세요. 그게 당신을 작가로 만들어줄 겁니다. 정말로요.
지금 가장 주목하고 있는 것
요즘 뉴스를 많이 보고 있어요.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보는데 뉴스 만한 것이 없으니까요. 뉴스를 보면 마음 아픈 사건들이 참 많아요. 불편하고 그래서 외면하고 싶은 일들도 많지요. 그러다가 아주 간혹, 단비같은 이야기도 나와요. 쓰러진 사람을 보고 지나치지 않는 마음,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달려와 다른 사람을 도와주는 모습처럼 울컥하게 만드는 이야기에 위로를 받기도 해요. 작가로서 제가 할 일은, 제가 받은 위로를 이야기로 만들어 내는 것, 불편해서 모른 척 했지만 꼭 알아야 하는 이야기를 쓰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앞으로도 계속 뉴스를 살피려고요.
사람을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말
"당연히 되지"라는 말이요. "걱정마, 잘될 거야"라는 말은 어쩐지 위로가 안되더라고요. 근데 "당연히 되지"라는 말은 확신이고 믿음이기 때문에 늘 사람들을, 그리고 저를 나아가게 한다고 생각해요. '내가 해도 되는 걸까', '나한테 자격이 있을까', '나는 왜 이리 힘들기만 할까', '난 못할 거야, 난 안될 거야' 그런 생각이 들 때, 혹은 주변에서 누군가가 그런 생각을 하고 있다면 "당연히 되지"라고 말해보세요. 아마도 그 믿음이 당신을 앞으로 나아가게 할 테니까요.
*이꽃님 소설가. 1989년 울산에서 태어났다. 2014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동화 「메두사의 후예」로 등단했다. 2015년 첫 책 『이름을 훔친 소년』을 시작으로 제8회 문학동네 청소년 문학상 대상을 받은 『세계를 건너 너에게 갈게』와 『행운이 너에게 다가오는 중』, 『당연하게도 나는 너를』 등을 썼다. |
추천기사